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modal
- angular route
- 스크롤 이벤트
- angular modal
- 앵귤러 애니메이션
- egov spring ajax 사용 예시
- route
- angular animation
- 모달
- summary
- Angular Router
- 옵저버블
- TAILWIND
- mysql if
- 아이오닉 스크롤 이벤트
- 앵귤러 모달
- ApexChart
- 스크롤 이벤트 감지
- 검색
- ajax 사용 예시
- scroll
- angular button
- Router
- 호버
- Oracle LISTAGG 사용 예시
- Ionic modal
- formgroup
- 셀렉트박스 커스텀
- flex-1
- prisma
- Today
- Total
깜놀하는 해므찌로
Docker run options / 도커 실행 명령어 및 자주 사용되는 옵션 본문
docker run -p -d --name web 80:80 nginx
- `docker run`: 도커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명령어입니다.
- `-p`: 호스트와 컨테이너 간의 포트 매핑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. 여기서는 호스트의 80번 포트와 컨테이너의 80번 포트를 매핑하고 있습니다.
- `-d`: 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옵션입니다. 이 옵션을 사용하면 컨테이너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, 실행 결과가 콘솔에 표시되지 않습니다.
- `--name web`: 생성된 컨테이너의 이름을 "web"으로 지정합니다. 이 이름은 컨테이너를 식별하는데 사용됩니다.
- `80:80`: 호스트의 80번 포트를 컨테이너의 80번 포트와 매핑합니다. 이렇게 함으로써 호스트에서의 요청이 컨테이너의 Nginx 서버로 전달됩니다.
- `nginx`: 실행할 이미지의 이름입니다. 여기서는 Nginx 이미지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.
위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Nginx 웹 서버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, 호스트의 80번 포트로 요청을 받아들이게 됩니다.
자주 사용되는 옵션
- `-d` 또는 `--detach`: 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합니다.
- `-p` 또는 `--publish`: 호스트와 컨테이너 간의 포트 매핑을 지정합니다.
- `--name`: 컨테이너의 이름을 지정합니다.
- `-v` 또는 `--volume`: 호스트와 컨테이너 간의 볼륨 매핑을 지정합니다.
- `-e` 또는 `--env`: 컨테이너 내에서 사용할 환경 변수를 지정합니다.
- `-rm` 또는 `--remove`: 컨테이너가 종료된 후에 자동으로 삭제합니다.
- `--network`: 컨테이너가 연결할 네트워크를 지정합니다.
- `-it` 또는 `--interactive --tty`: 컨테이너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터미널을 연결합니다.
- `--restart`: 컨테이너의 재시작 정책을 지정합니다.
- `--link`: 다른 컨테이너와의 링크를 설정합니다.
- `--env-file`: 환경 변수를 파일에서 로드합니다.
- `--privileged`: 컨테이너에 호스트의 모든 권한을 부여합니다.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i 명령어 feat.dockerfile 도커파일 예시 (1) | 2023.09.08 |
---|---|
nginX.conf NginX 설정 커스텀 예시 (0) | 2023.09.07 |
Video Tag 비디오 태그 활용 예시 (0) | 2023.09.05 |
scrollbar sidemenu stop 사이드 메뉴 멈추게 하기 예시 / scroll side (0) | 2023.09.04 |
Scroll 스크롤 감지 예시 (0) | 2023.09.03 |